알바생 필독! 주휴수당, 세금… 놓치면 손해인 내 알바비 관리법

힘든 알바 후 받은 월급 명세서를 꼼꼼히 확인하시나요? 많은 분들이 ‘시급 X 근무시간’으로만 급여를 생각하지만, 우리가 알아야 할 것은 그보다 훨씬 많습니다.

특히 N잡러라면, 놓치기 쉬운 돈과 예상치 못한 지출을 미리 관리해야 합니다. 2025년, 알바로그에서 알바생이 꼭 챙겨야 할 돈과 관련된 핵심 정보 3가지를 알려드릴게요.

주휴수당, 당연한 권리를 아시나요?

주 15시간 이상 꾸준히 일했다면, 일주일에 하루는 일하지 않아도 유급 휴일 수당, 즉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계산법이 복잡하고 조건이 헷갈려 사장님도, 알바생도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알바로그는 근무 시간만 입력하면, 발생 요건을 따져 주휴수당을 자동으로 계산해 줍니다. 더 이상 헷갈릴 필요가 없어요.

3.3% 세금, 왜 떼는 걸까요?

월급을 받았는데 3.3%가 빠져나갔다면, ‘사업소득세’가 원천징수된 것입니다. 주로 단기, 프리랜서 형태의 알바에 적용되죠. 미리 알고 있지 않으면 실수령액이 예상보다 적어 당황할 수 있습니다.

만약 프랜차이즈 알바를 한다면 일반적으로 3.3%의 소득세 대신 9.4%의 4대보험이 적용돼요.

알바로그는 3.3% 세금은 물론 4대 보험(9.4%)까지 다양한 세율 옵션을 제공합니다. 내 알바 조건에 맞춰 ‘세후 실수령액’을 정확히 예측하고 관리하세요.

연장근로수당, 1.5배의 권리를 잊지 마세요.

하루 8시간 또는 주 40시간을 초과한 근무에 대해서는 통상 시급의 1.5배를 지급해야 합니다. (단, 5인 미만 사업장 제외) 많은 경우, 이 규정을 모르거나 복잡해서 그냥 넘어가지만, 이는 엄연한 내 노력의 추가 보상입니다.

알바로그에는 연장근무 시간 입력 기능이 있습니다. 기본 근무 시간과 연장 근무 시간을 따로 입력하면, 1.5배 할증이 적용된 총급여를 정확하게 계산해 보여줍니다. 이제부터 나의 추가 근무는 확실하게 기록하고 정당한 대가를 요구하세요.

아는 것이 힘, 기록하는 것이 돈입니다.

알바로그와 함께 단순히 돈을 계산하는 것을 넘어, 나의 시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정당한 권리를 찾는 합리적인 알바생이 되세요!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