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2026년 주휴수당 2줄 요약
- 2026년 최저시급 10,320원 (2025년 대비 290원↑, 2.9% 인상)
- 주 40시간 근무 시 주휴수당 월 최대 33만원 받을 수 있어요
1. 2026년 최저시급은 얼마?
2026년 최저시급 확정!
2026년 최저시급: 10,320원
2026년 최저임금이 드디어 확정되었습니다!
시간당 10,320원으로, 2025년 10,030원보다 290원(2.9%) 인상되었어요.
최저시급 추이
- 2024년: 9,860원
- 2025년: 10,030원 (170원↑, 1.7%↑)
- 2026년: 10,320원 (290원↑, 2.9%↑)
2026년 월급은 얼마?
주 5일, 하루 8시간 (월 209시간) 근무 시
- 월급: 2,156,880원 (주휴수당 포함)
- 2025년 대비 60,610원 인상
17년 만의 노사 합의!
이번 2026년 최저임금은 2008년 이후 17년 만에 노동계와 경영계가 합의하여 결정한 금액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습니다.
출처:
- 최저임금위원회 공식 홈페이지
- 고용노동부 – 2026년 적용 최저임금 시간급 10,320원 공식 보도자료
- 고용노동부 – 2026년 적용 최저임금 고시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 2026년 적용 최저임금 시간급 10,320원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 내년 최저임금 시간급 2.9%↑, 1만 320원…17년만에 합의
- 헤럴드경제 – 내년 최저임금 1만320원…17년 만에 노사 합의 결정
- 아주경제 – 2026년 최저임금 1만320원…2008년 이후 17년 만의 노사공 합의
2. 주휴수당이란? 받을 수 있는 조건
주휴수당의 정의
주휴수당은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로하는 모든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유급휴일 수당입니다.
근로기준법 제55조에 따라 모든 사업장에서 의무적으로 지급해야 하는 법정 수당이에요!
주휴수당 지급 조건 체크리스트
- 일주일 평균 15시간 이상 근무
- 일주일 개근 (소정근로일 모두 출근)
- 정규직, 비정규직, 알바, 프리랜서 등 모든 근로형태 해당
- 4인 이하 소규모 사업장도 의무 지급
주휴수당을 못 받는 경우
- 주 15시간 미만 근무
- 일주일 동안 무단 결근이 있는 경우
- 소정근로일에 출근하지 않은 경우
출처:
- 고용노동부 – 주휴수당 상담사례
- 근로기준법 제55조와 제18조3항
3. 2026년 주휴수당 계산 방법 (실제 예시)
주휴수당 계산 공식
주휴수당 = (일주일 총 근무시간 ÷ 40시간) × 8시간 × 시급
💡 Tip! 최대 주 40시간까지만 적용됩니다.
2026년 기준 실제 계산 예시
- 월급계산시 계산 편의를 위해 한달을 4주로 계산했습니다.
예시 1: 주 15시간 근무 (최소 조건)
- 시급: 10,320원
- 주 근무시간: 15시간
- 주휴수당 = (15 ÷ 40) × 8 × 10,320 = 30,960원
- 월 주휴수당 = 30,960원 × 4주 = 123,840원
- 월 총 급여 = (15시간 × 10,320원 × 4주) + 123,840원 = 743,040원
예시 2: 주 20시간 근무
- 시급: 10,320원
- 주 근무시간: 20시간
- 주휴수당 = (20 ÷ 40) × 8 × 10,320 = 41,280원
- 월 주휴수당 = 41,280원 × 4주 = 165,120원
- 월 총 급여 = (20시간 × 10,320원 × 4주) + 165,120원 = 990,720원
예시 3: 주 30시간 근무
- 시급: 10,320원
- 주 근무시간: 30시간
- 주휴수당 = (30 ÷ 40) × 8 × 10,320 = 61,920원
- 월 주휴수당 = 61,920원 × 4주 = 247,680원
- 월 총 급여 = (30시간 × 10,320원 × 4주) + 247,680원 = 1,486,080원
예시 4: 주 40시간 근무 (정규직)
- 시급: 10,320원
- 주 근무시간: 40시간
- 주휴수당 = (40 ÷ 40) × 8 × 10,320 = 82,560원
- 월 주휴수당 = 82,560원 × 4주 = 330,240원
- 월 총 급여 = 2,156,880원 (209시간 기준, 주휴수당 포함)
2026년 주휴수당 한눈에 보기
| 주 근무시간 | 주휴수당(주) | 월 주휴수당(4주) | 월 총 급여 |
|---|---|---|---|
| 15시간 | 30,960원 | 123,840원 | 743,040원 |
| 20시간 | 41,280원 | 165,120원 | 990,720원 |
| 25시간 | 51,600원 | 206,400원 | 1,238,400원 |
| 30시간 | 61,920원 | 247,680원 | 1,486,080원 |
| 35시간 | 72,240원 | 288,960원 | 1,733,760원 |
| 40시간 | 82,560원 | 330,240원 | 2,156,880원 |
2025년 vs 2026년 주휴수당 비교
| 구분 | 2025년 | 2026년 | 차이 |
|---|---|---|---|
| 최저시급 | 10,030원 | 10,320원 | +290원 |
| 주휴수당(주 40시간) | 80,240원 | 82,560원 | +2,320원 |
| 월 주휴수당 (한달 4주 기준) | 320,960원 | 330,240원 | +9,280원 |
| 월 총 급여 (한달 4주 기준) | 2,096,270원 | 2,156,880원 | +60,610원 |
4. 주휴수당 자동 계산기 사용법
복잡한 계산 없이 1분 만에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주휴수당 계산기 앱 사용법
STEP 1: 시급 입력
- 2026년 최저시급 10,320원 또는 본인의 시급 입력
- 자동으로 천 단위 콤마 표시
STEP 2: 근무시간 입력
- 일주일 총 근무시간을 시간/분 단위로 입력
- 15시간 ~ 40시간까지 선택 가능
STEP 3: 세금 선택
- 소득세, 4대 보험 등 세금 공제 방식 선택
- 세전/세후 금액 모두 확인 가능
STEP 4: 자동 계산
- 주휴수당 즉시 확인
- 주급 예상액 (기본급 + 주휴수당)
- 실수령액 (세금 공제 후)
계산기 핵심 기능
주휴수당 자동 계산
- 복잡한 공식 없이 즉시 확인
주급 예상 금액
- 주휴수당 포함 총 급여 계산
세금 공제 후 실수령액
- 4대 보험, 소득세 공제 금액 확인
달력 기능
- 근무시간 자동 기록 및 누적 계산
계산 결과 저장
- 과거 계산 내역 보관 및 비교
즐겨찾기 기능
- 자주 사용하는 시급/근무시간 저장
5.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주 15시간 미만이면 정말 주휴수당이 없나요?
- 네. 현행 요건상 1주 15시간 미만이면 주휴수당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Q2. 주휴시간이 8시간을 초과할 수 있나요?
- 아니요. 상한은 8시간입니다. 40시간 초과 근로해도 주휴시간은 8시간으로 봅니다.
Q3. 주휴수당은 쉬는 날에 꼭 근무해야 발생하나요?
- 아닙니다. ‘유급휴일’의 임금이므로 실제 근무 없이도 자격 충족 시 임금이 발생합니다.
Q4. 주휴수당은 세전? 세후?
- 통상 세전 기준으로 계산하며, 실제 수령액은 공제 항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Q5. 월급제에게도 주휴수당이 따로 있나요?
- 통상 월급에는 주휴분이 이미 포함되어 산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계약서/급여규정을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