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026년 최저임금 기본 정보

| 구분 | 금액 |
|---|---|
| 시급 | 10,320원 |
| 일급 (8시간) | 82,560원 |
| 월급 (209시간) | 2,156,880원 |
| 적용 기간 | 2026.1.1 ~ 2026.12.31 |
주휴수당, 월급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아래 글에서 참고해 주세요.
2026년 최저시급 10,320원 확정! 주휴수당 계산법과 월급 실수령액 총정리
2. 가산수당 계산 공식 간단요약
- 연장수당: 시급 × 1.5배 × 연장근로시간
- 야간수당: 시급 × 1.5배 × 야간근로시간
- 휴일수당(8시간 이내): 시급 × 1.5배 × 휴일근로시간
- 휴일수당(8시간 초과): 시급 × 2.0배 × 초과 휴일근로시간
- 복합(겹침) 원칙: 가산은 “합산”(예: 휴일+야간=2.0배, 휴일 8h 초과+야간=2.5배)
출처: 고용노동부 임금·근로시간 안내, 근로기준법 제56조 해석
3. 2026년 최저시급으로 연장근로수당 계산
연장근로란?
1일 8시간, 1주 40시간을 초과하여 근무한 시간을 의미합니다. 근로기준법 제56조에 따라 통상시급의 50%를 가산하여 지급해야 합니다.
계산 공식
연장근로수당 = 시급 × 1.5 × 연장근로 시간
2026년 기준 계산 예시
예시 1) 하루 2시간 연장 근무
- 기본 8시간 급여: 10,320원 × 8시간 = 82,560원
- 연장 2시간 수당: 10,320원 × 1.5 × 2시간 = 30,960원
- 총 급여: 113,520원
예시 2) 한 주에 45시간 근무 (5시간 연장)
- 기본 40시간 급여: 10,320원 × 40시간 = 412,800원
- 연장 5시간 수당: 10,320원 × 1.5 × 5시간 = 77,400원
- 주휴수당: 82,560원
- 총 급여: 572,760원
| 연장 시간 | 기본 시급 | 가산율 | 시간당 수당 |
|---|---|---|---|
| 1시간 | 10,320원 | 1.5배 | 15,480원 |
| 2시간 | 10,320원 | 1.5배 | 30,960원 |
| 3시간 | 10,320원 | 1.5배 | 46,440원 |
| 4시간 | 10,320원 | 1.5배 | 61,920원 |
출처: 근로기준법 제56조 – 연장·야간 및 휴일 근로
4. 2026년 최저시급으로 야간근로수당 계산
야간근로란?
오후 10시부터 오전 6시까지 근무한 시간을 말합니다. 연장근로와 마찬가지로 통상시급의 50%를 가산하여 지급합니다.
계산 공식
야간근로수당 = 시급 × 1.5 × 야간근로 시간
2026년 기준 계산 예시
예시 1) 밤 10시~새벽 2시 (4시간 근무)
- 야간 4시간 수당: 10,320원 × 1.5 × 4시간 = 61,920원
예시 2) 밤 11시~아침 7시 (8시간 근무)
- 야간 근무 시간: 밤 11시 ~ 새벽 6시 = 7시간
- 주간 근무 시간: 새벽 6시 ~ 아침 7시 = 1시간
- 야간 수당: 10,320원 × 1.5 × 7시간 = 108,360원
- 주간 수당: 10,320원 × 1시간 = 10,320원
- 총 급여: 118,680원
| 야간 근무 시간 | 가산율 | 시간당 수당 | 8시간 총액 |
|---|---|---|---|
| 야간 8시간 | 1.5배 | 15,480원 | 123,840원 |
5. 2026년 최저임금으로 휴일근로수당 계산
휴일근로란?
주휴일(보통 일요일)이나 법정공휴일에 근무한 경우를 말합니다. 휴일근로수당은 근무 시간에 따라 150% 또는 200%를 가산합니다.
계산 공식
휴일근로수당 (8시간 이내) = 시급 × 1.5 × 휴일근로 시간
휴일근로수당 (8시간 초과) = 시급 × 2 × 초과 시간
2026년 기준 계산 예시
예시 1) 일요일 8시간 근무
- 휴일근로 8시간: 10,320원 × 1.5 × 8시간 = 123,840원
- 총 급여: 123,840원
예시 2) 일요일 10시간 근무
- 휴일근로 8시간: 10,320원 × 1.5 × 8시간 = 123,840원
- 휴일 연장 2시간: 10,320원 × 2 × 2시간 = 41,280원
- 총 급여: 165,120원
150% vs 200% 차이
| 휴일 근무 시간 | 가산율 | 2026년 시간당 수당 |
|---|---|---|
| 8시간 이내 | 150% | 15,480원 |
| 8시간 초과분 | 200% | 20,640원 |
출처: 근로기준법 제56조 – 연장·야간 및 휴일 근로
6. 수당 중복 가산의 경우 계산
야간 + 연장 근로
평일 야간에 연장근로를 하면 두 가지 수당을 모두 받을 수 있습니다.
예시) 평일 오전 9시~자정 (14시간 근무, 점심시간 1시간 제외)
- 기본 8시간 (09:00~18:00): 10,320원 × 8시간 = 82,560원
- 연장 4시간 주간 (18:00~22:00): 10,320원 × 1.5 × 4시간 = 61,920원
- 연장+야간 2시간 (22:00~24:00): 10,320원 × 2 × 2시간 = 41,280원
- 총 급여: 185,760원
휴일 + 야간 + 연장 근로
일요일에 8시간을 초과하여 야간까지 근무하면 세 가지 수당이 모두 중복 적용됩니다.
예시) 일요일 오후 2시~자정 (10시간 근무)
- 휴일 8시간 (14:00~22:00): 10,320원 × 1.5 × 8시간 = 123,840원
- 휴일 연장 + 야간 2시간 (22:00~24:00): 10,320원 × 2.5 × 2시간 = 51,600원
- 총 급여: 175,440원
| 근무 상황 | 적용 수당 | 가산율 합계 | 시간당 수당 (2026) |
|---|---|---|---|
| 평일 주간 기본 | – | 100% | 10,320원 |
| 평일 야간 | 야간 | 150% | 15,480원 |
| 평일 연장 | 연장 | 150% | 15,480원 |
| 휴일 기본 | 휴일 | 150% | 15,480원 |
| 휴일 야간 | 휴일+야간 | 200% | 20,640원 |
| 휴일 연장 (8시간 초과) | 휴일+연장 | 200% | 20,640원 |
| 휴일 야간 연장 | 휴일+야간+연장 | 250% | 25,800원 |
출처: 근로기준법 제56조 – 연장·야간 및 휴일 근로
7. 복잡한 수당 계산, 앱으로 간편하게!
위 각종 가산수당 계산이 복잡하고 어려우신가요? 수당계산기를 사용하면 편하게 계산할 수 있어요.
수당계산기 주요 기능
✅ 연장근로수당 자동 계산
✅ 야간근로수당 자동 계산
✅ 휴일근로수당 자동 계산
✅ 근무 시간 추적 및 달력 관리
8. 자주 묻는 질문 (FAQ)
Q1. 5인 미만 사업장에서도 수당을 받을 수 있나요?
A: 5인 미만 사업장은 연장·야간·휴일근로 가산수당(50%) 지급 의무가 없습니다. 다만 최저임금(10,320원)은 반드시 지급해야 하며, 주휴수당은 지급 대상입니다.
출처: 연장‧야간‧휴일근로 가산수당 총정리 | 네이버페이 마이비즈
Q2. 야간 근무와 연장 근무가 겹치면 수당이 중복으로 나오나요?
A: 네, 중복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평일 밤 10시 이후 연장 근무 시 야간수당(50%) + 연장수당(50%) = 시급의 2배를 받을 수 있습니다. 가산의 사유가 중복되면 각각 50%씩 추가로 계산한 금액을 모두 더하여 받아야 합니다.
출처: 연장‧야간‧휴일근로 가산수당 총정리 | 네이버페이 마이비즈
Q3. 주휴수당과 휴일근로수당은 다른 건가요?
A: 네, 다릅니다.
- 주휴수당: 주 15시간 이상 근무 시 자동으로 받는 유급휴일 수당 (근로 제공 없이 지급)
- 휴일근로수당: 휴일에 실제로 근무했을 때 받는 가산 수당 (150%~250%)
주휴일에 실제로 근무하면 주휴수당 + 휴일근로임금 + 가산수당을 모두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