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임금 계산법 – 시간당 통상임금, 1일 통상임금

통상임금 계산 통상임금을 계산해 보겠습니다. 아래 순서로 계산할 거에요. 계산을 위해서는 아래 정보들이 필요해요 계산을 위해 아래 예시값들을 사용할거에요. 이제 계산해보아요. 1. 주휴시간 계산 주휴시간은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는 근로자에게 지급되며 일 최대 8시간까지 인정됩니다.주휴시간은 원래 주휴수당을 계산하기 위한거지만 통상임금 계산에서는 월 근로시간에 포함될 주휴시간이 필요해요. 주휴시간 = (주 근무시간 / 40) * 8 예시의 … Read more

2025년 최저시급으로 계산한 주휴수당과 주급

2025년 최저시급 2025년의 최저시급은 10,030원입니다. 이는 작년 9,860원 대비 170원 인상, 1.7% 증가한 수치입니다. 최저시급의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최저임금위원회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www.minimumwage.go.kr/main.do 2025년 최저임금으로 계산한 주휴수당, 주급 2025년 최저임금인 10,030원으로 계산한 주휴수당과 주급입니다. 주 40시간(주 근무일수 5일, 일 근무시간 8시간)을 기준으로 계산했어요. 주휴수당 제외 주급 : 401,200 주휴수당 : 80,240 2025년 최저임금으로 계산한 주휴수당 제외 주급은 401,200원, 주휴수당은 80,240원입니다. 이는 … Read more

2025년 최저임금 반영 주급, 월급 계산 확인

2025년 최저임금이 10,030원으로 확정되었어요. 올해 내 주급과 월급은 어떻게 달라질지 궁금하실텐데요. 그럴 때 시급 계산기 앱을 활용해 보세요. 시급계산기는 시급, 하루 근무 시간, 주 근무일 수 등 간단한 몇가지만 입력하면 주급과 월급을 자동으로 계산해주며, 주휴수당, 연장근무 수당, 세금까지 한 번에 확인할 수 있어요. 2025년의 최저임금 변화 2025년 1월 1일부터 시행되는 최저시급은 10,030원으로, 2024년(9,860원)보다 170원 인상되었습니다. … Read more

2025년 최저시급 반영 급여계산

2025년 최저시급 2025년의 최저시급은 10,03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이는 작년 9,860원 대비 170원 인상, 1.7% 증가한 수치입니다. 최저시급의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www.minimumwage.go.kr/main.do 최저시급이 오르면서 아르바이트를 하거나 시간제 근무를 하시는 분들은 내 연봉, 일급, 월급이 얼마로 바뀌는지 궁금하실 텐데요. 이럴 때 바로 급여 계산기 앱이 도움이 됩니다. 급여계산기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더 … Read more

국가별 환율 조회 방법

매일 환율 계산기 매일 환율 계산기 앱이 있어요. 이 앱을 이용하면 한 화면에서 미리 설정한 국가들의 환율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어요. 많이 쓰는 유로, 달러, 엔화, 위안화를 포함한 200개 이상의 통화를 선택할 수 있어요. 환율 조회 방법 아래 이미지 예시에서는 24년 10월 24일 기준으로 1000원에 110엔, 0.7달러, 0.56파운드였어요. 매일 환율 계산기를 쓰면 이런점이 좋아요. 여기서 … Read more

연봉 포함, 미포함에 따른 상여금 계산 방법

상여금 계산 방법 “연봉 2400만원, 상여금 200%, 상여금은 연봉에 미포함됩니다.” 채용공고에 위와 같이 나와있다면 연간 총 상여금은 얼마이며 상여금을 포함한 연봉은 얼마일까요? 상여금이 연봉에 포함되는지, 미포함되는지에 따라 구분해서 계산해볼게요. 회사별로 조금은 다를 수 있지만 보통은 아래 경우로 계산해요. 상여금이 연봉에 포함되는 경우 상여금이 연봉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여금 계산기 위 내용은 상여금 계산기를 이용하면 간편하게 … Read more

CNY, CNH 중국 위안화 동시 확인 환율 계산기

CNY와 CNH의 차이점 CNY, CNH 환율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 거래 환경의 차이 활용도의 차이 매일 환율 계산기로 CNY, CNH 동시 확인하기 앱 설치 및 기본 설정 CNY, CNH 환율 확인 방법 실제 환율 예시 2024년 10월 29일 기준 막상 보니 큰 차이는 없네요. 매일 환율 계산기 다운로드

연차휴가 발생 기준(입사일 기준, 회계연도 기준)

연차휴가란? 연차휴가는 쉽게 말해서 1년 동안 열심히 일한 직원에게 주는 ‘유급 휴가’에요. 법으로 정해져 있답니다. 근로기준법 제60조 1항에 따르면, 1년간 80% 이상 출근한 근로자는 15일의 유급휴가를 받을 수 있어요. 하지만 실제로는 근무 연차에 따라 조금씩 달라진답니다. 연차 발생 기준은 회사마다 다르지만 보통 두가지 방법이 있어요. 입사일 기준 매년 입사한 날에 연차가 생겨요. ex) 2020년 4월 … Read more

주휴수당을 알아봐요 (지급조건, 계산방법, 계산기)

주휴수당을 알아보아요. 주휴수당은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일하는 모든 근로자에게 주는 수당이에요. 특히 아르바이트 하시는분들이라면 꼭 알아두셔야 하는 내용이에요. 위에서 말한 모든 근로자는 정규직, 비정규직, 계약직 등 근로형태와 무관한 모든 근로자에요.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는 조건이 있어요. 주휴수당은 어떻게 계산할까요? 주휴수당을 계산할 수 있는 공식은 간단해요. (1주일 총 근무시간 / 40시간) * 8 * 시급 주의할 … Read more

연봉 실수령액 계산 방법

연봉 실수령액 계산기 연봉 실수령액 계산 방법 가장 먼저 과세금액을 계산해야합니다. 연봉에서 연 비과세액을 제외합니다. 이후 국민연금등의 세금을 계산하기 위해 연 비과세액을 제외한 연봉을 12개월로 나눠서 월급으로 변환합니다. 국민연금은 비과세액을 제외한 월급의 4.5%를 과세합니다. 이때 월급이 590만원 이상일 시 국민연금은 265,500원으로 고정됩니다. 건강보험은 비과세액을 제외한 월급의 3.545%를 과세합니다. 장기요양보험은 건강보험의 12.95%를 과세합니다. 고용보험은 비과세액을 제외한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