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임금 계산법 – 시간당 통상임금, 1일 통상임금

통상임금 계산

통상임금을 계산해 보겠습니다.

아래 순서로 계산할 거에요.

  1. 주휴시간 계산
  2. 월 근로시간 계산
  3. 시간당 통상임금 계산
  4. 1일 통상임금 계산

계산을 위해서는 아래 정보들이 필요해요

  1. 주 근무시간
  2. 월 기본급
  3. 월 고정수당 (선택사항)
  4. 연간 상여금 (선택사항)

계산을 위해 아래 예시값들을 사용할거에요.

  1. 주 근무시간 : 40시간
  2. 월 기본급 : 1,200,000원
  3. 월 고정수당 : 150,000원
  4. 연간 상여금 : 600,000원

이제 계산해보아요.

1. 주휴시간 계산

주휴시간은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는 근로자에게 지급되며 일 최대 8시간까지 인정됩니다.
주휴시간은 원래 주휴수당을 계산하기 위한거지만 통상임금 계산에서는 월 근로시간에 포함될 주휴시간이 필요해요.

주휴시간 = (주 근무시간 / 40) * 8

예시의 주 근무시간은 40시간으로 15시간이 넘으므로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어요.

주휴시간 = (40 / 40) * 8 = 8시간

2. 월 근로시간 계산

월 근로시간 = (주 근로시간 + 주휴시간) * (365일/12개월/7일)

월 근로시간 = (40 + 8) * (365 / 12 / 7) = 209시간

3. 시간당 통상임금 계산

월 고정수당과 연간 상여금이 없을 경우에는 각 값을 0으로 두면 됩니다.

시간당 통상임금 = (월 기본급 + 월 고정수당 + (연간 상여금 / 12)) / 월 근로시간

시간당 통상임금 = (1,200,000 + 150,000 + (600,000/12)) / 209 = 6,459원

4. 일 통상임금 계산

1일 통상임금 = 시간당 통상임금 * 일 근무시간

1일 통상임금 = 6,459 * 8 = 51,672원

통상임금 계산 결과

  • 주휴시간 : 8시간
  • 월 근로시간 : 209시간
  • 시간당 통상임금 : 6,459원
  • 1일 통상임금 : 51,672

통상임금 계산기

귀찮게 직접 계산하지 않아도 쉽게 계산해주는 통상임금 계산기 앱이 있어요.

Leave a Comment